분류 전체보기 5706

●●●●● 05월14일 (제629회 북한산 정기산행)

★★★ 제629회 재경 현석산악회 북한산 정기산행 ★★★ ★ 북한산 산행 ★ ★ 산행안내 ★ 1, 산행일자 ; 2018년 05월 14일 (월) 2, 만남의장소및, 출발시간 ; 지하철3,6호선 불광역 2번출구 / 오전 10시 30분 3, 등산코스 ; (약 3시간 30분) 구기터널매표소 - 각황사 - 능선 - 약수터 - 산소 - 능선길 - 쉼터 - 오르막길 - 오거리갈림길 - 향로봉감시초소 - 능선 - 향로봉 - 515봉 - 진관봉 - 삼거리갈림길 - 능선 - 송전탑앞갈림길 - 능선 - 이정표 - 바위쉼터 - 선림공원지킴터 - 구름정원구간 - 시멘트길 - 불광중학교 후문 4, 준비물 ; 간식(김밥), 식수, 장갑, 스틱, 등 5, 기타 ; *** 당시 상황에 따라서 코스가 변경 될수도 있읍니다, *** 점심..

CPU란?

CPU란? 지금 보이는 사진 중앙이 바로 CPU입니다.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줄임말로 다른말로 중앙처리장치라고도 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있듯이 CPU는 사람으로 치자면 바로 머리에 해당 됩니다. CPU는 하드디스크와 램 그리고 기타 장치에서 오는 정보를 처리하며 계산된 정보를 다시 하드디스크와 램 그리고 기타장치에 다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CPU는 연산을 처리하기 때문에 수많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열이 매우 심합니다. 그래서 사진에서 왼쪽과 같이 열을 식힐 수 있는 쿨러를 제공합니다. CPU성능은 클럭(clock)으로 나타내는데 보통 이 클럭이 높으면 대게 CPU성능이 높아집니다. 성능은 대게 3.7Ghz, 2.2Ghz등등 이런식으로 표기합니다. 게다가 ..

시설관리 EPS실

EPS실에 대해서 알아보면, EPS는 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Electric Pipe Shaft의 약어이며,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 보통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약어이다. 전기공사를 할 경우 동력용전선, 전등용전선, 전열용전선 및 경우에 따라서는 통신용 케이블, BAS(자동제어용 케이블), HAS(홈오토메이션 케이블)등 여러 종류의 전기 관계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흘러 다니는 Shaft(통)를 말한다. 보통 콘크리트로 구획해서 만들어 지지만 때로는 벽돌, 철판, 스레트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 지기도 한다. 이러한 EPS실이 필요한 이유는 많은 전선과 통신선들이 건물내부로 배관, 배선이 되는데, 배관이 골조 내부에 매립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PIT, TPS실, EPS실이란?

1) PIT PIT란 영어로 구멍을 뚫다 이런 의미인데 건축물을 만들다 보면 전기배선, 수도배관, 가스배관 등이 지나가는 공간장소 여기에서 EPS실, TPS실도 포함되겠다. 2) EPS실 Electrical Piping Shaft 또는 Electric Pipe Shaft의 약어이며 건축물 이나 다른 공작물을 건설할 경우 보통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전기 공사의 동력용전선, 전등용전선, 전열용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흘러 다니는 Shaft(통)을 의미한다. 3) TPS실 Telecommunication Pipe Shaft의 약어이며 통신용 케이블, BAS(자동제어용 케이블), HAS(홈오토메이션 케이블) 등 여러 종류의 통신 관련된 전선이 이 통로를 통하여 ..

제연휀룸이란

제연 휄륨은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 시설이 위치한 장소로 보여집니다. 제연(除燃)은 '실내에 차 있는 연기를 배출하여 없앰'이라는 뜻입니다. 휀룸/팬룸(FAN ROOM)은 건축물의 환기 시설이 위치하는 장소입니다. 주로 지하 주차장의 환기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제연휀룸은 건물에 화재가 났을때 다른 층 또는 피난구등에 연기가 찹니다. 이젠 제연설비가 가동되면서 여기를 빨아드려 밖으로 보내거나 신선한 공기를 안으로 빨아 들입니다. 이때 제연공조설비 장비를 설치해둔 기계실 이라 보시면됩니다

건설용어 팬룸이란 무엇인가?

휀룸/팬룸(FAN ROOM)은 건축물의 환기시설이 위치하는 장소입니다. 주로 지하주차장의 환기시설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휀룸에는 방식에 따라 급기와 배기가 이루어지며 이를위해 휀룸의 전면 벽은 대게 공기를 유입, 배출 할수 있는 대형 그릴이 설치됩니다. 그외 아파트의 경우 옥탑이나 지하에 피난계단의 S.T(SMOKE TOWER)를 위한 휀룸이 따로 구획되기도 합니다. * 팬룸(Fan Room)은, 환기 시설(팬)이 설치된 룸을 말합니다. 주로 지하주차장의 환기시설을 말합니다. 답변 휀룸/팬룸(FAN ROOM)은 건축물의 환기시설이 위치하는 장소입니다

알람밸브

알람밸브=자동경보밸브 댐퍼스위치=밸브개방/폐쇄 확인스위치 자동경보밸브= 다른말로 습식 스프링클러용 밸브라 칭하는데. 이 밸브의 기능은 2차측 배관에 물이 항상 일정 압력으로 유지 되어 있어야 하며 2차측 배관에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알람(경종.싸이렌.시각경보기)등으로 압력이 빠진것을 경고합니다.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분사할경우 또는 배관에 누수(동파.파손.시공하자.등)가 될경우 알람밸브 에는 압력 스위치(p.s)가 부착되어 있어서 위 기능을 하게됩니다. 댐퍼스위치(t.s)=말 그대로 밸브의 개/폐 유무를 수신기 상으로 확인할수있는 스위치 입니다. 크게 두가지 종류(리미트스위치/근접센서)로 많이 시공하고 os/y 게이트밸브/버터플라이밸브(핸들타입/기어타입) 이 설치되는곳이면 예..

★★★ 2018년 05월12일 (강화/교동도 산행) ★★★

★★★ 강화도 여행 ★★★ ★ 강화도 여행 ★ ★ 산행안내 ★ 1, 산행일자 ; 2018년 05월 12일 (토) 2, 만남의장소및, 출발시간 ; 집에서 출발 3, 등산코스 ; 강화대교 - 교동대교 - 봉소리 - 고구리 - 대룡리 - 고구리 - 봉소리 - 교동대교 - 외포항 석모대교 - 보문사 - 석모대교 - 외포항 - 강화대교 - 방화동 - 가양동 4, 준비물 ; 중식, 간식(김밥), 식수, 장갑, 스틱, 아이젠, 보온 옷, 등 5, 기타 ; 창원 동서와 함께 읍내리,남산포로 가는길,

EPS (Electric Power Steering 전자 제어 파워 스티어링)

1.EPS실은 전기 배전판을 말하는것으로 보통 계단실 층마다 설치되어 있습니다. 2.일종의 전기 메인실로 케이블 및 배관등의 유지.보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EPS (Electric Power Steering 전자 제어 파워 스티어링) 차량 속도에 따라 핸들의 특성을 바꾸는 전자식 동력조향장치(Power Steering)다. 차종에 따라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라 부르기도 한다. 조향장치란 운전자의 의도대로 차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수동조향장치와 동력조향장치가 있다. 수동조향장치는 운전자가 핸들에 가한 힘만으로 작동하는 방식이다. 동력조향장치는 유압장치 등을 통해 운전자가 핸들에 가한 토크(Torque)를 증폭시켜 자동차의 조종을 돕는다. 토크는 ..

(수전설비) EPS 전기 샤프트 면적

전기 샤프트 면적 (1) 면적산정 (가) 기기의 배치에 의해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산정 한다. (나) 연면적에 대비한 1개 층 ES면적은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설계한다. (2) ES면적은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 케이블 포설공간 이외에 증설,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단, ES내 기기 배치가 1열로 되고 맞은편 벽을 기기 크기만큼 열 수 있게 하는 경우에는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3) 업무용 건축물에서의 구내통신을 위한 ES는 다음 표를 참조한다. 대 상 층별 면적 [m2] ES 면적 (층당) [m2] 비 고 6층 미만이거나 연면적 5,000[m2] 미만 - 5.4이상 1개소 이상 500이상 800미만 6.6이상 6층 미만이고 연면적 5,000[m2]이상 1,000이상 6..

(EPS)전기 샤프트 (EPS ) 의설계시 고려사항

3.5 전기 샤프트(ES) 1 일반사항 가. 건축적 고려사항 (1) 전기 샤프트(이하「ES」)는 각층마다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2) ES는 연면적 3,000[m2] 이상 건축물의 경우 1개층 기준하여 800[m2]마다 설 치하며 용도에 따라 면적을 달리 할 수 있다. (3) ES의 면적은 보, 기둥부분을 제외하고 산정하며, 기기의 배치와 유지보수에 충 분한 공간으로 하고, 건축적인 마감을 실시한다. (4) ES의 점검구는 유지보수시 기기의 반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며 폭 600[mm]이 상으로 한다. 나. 환경적 고려사항 (1) 층 바닥과 ES점검구 하단과는 높이차를 두어 층 침수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 전기적 고려사항 (1) ES는 공급대상 범위의 배선거리, 전압강하 등을 고..